본문 바로가기

신혼부부 필수 연말정산 절세 꿀팁! 최대 100만원 결혼세액공제 받는 법

tobwell 2025. 2. 6.

신혼부부라면 꼭 알아야 할 연말정산 절세 전략

신혼부부라면 결혼 후 첫 연말정산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공제 혜택이 많습니다. 결혼 준비와 신혼살림 마련으로 지출이 많아진 만큼, 세액공제를 최대한 활용하여 절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년부터 새롭게 신설된 결혼세액공제를 포함하여, 신혼부부가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공제 항목과 절세 전략을 소개합니다. 꼭 체크하고 연말정산에서 최대한의 혜택을 받아보세요!


결혼세액공제란? 신혼부부라면 꼭 챙겨야 할 공제 항목

2024년부터 시행되는 결혼세액공제는 신혼부부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새로운 세제 혜택입니다. 혼인신고를 완료한 부부라면 각각 50만원씩, 최대 1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결혼세액공제 적용 요건

항목 내용
대상 2024.1.1. ~ 2026.12.31. 사이에 혼인신고한 신혼부부
공제 금액 배우자 각각 50만원씩, 총 100만원
적용 횟수 생애 1회에 한해 적용
필수 요건 혼인신고 완료 후 연말정산 신청
이월공제 가능 여부 ❌ 불가

 


신혼부부를 위한 연말정산 절세 전략

1. 신용카드 사용 전략

결혼 준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비용(예식장, 신혼여행, 가전제품 등)은 연봉이 낮은 배우자의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분배하세요.

2. 주택자금공제 요건

주택 구매 또는 전월세 거주 방식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공제 항목이 다릅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경우 대출 명의자와 주택 소유자가 일치해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 소유자 대출 명의자 공제 가능 여부
근로자 근로자 ⭕ 가능
근로자 배우자 ❌ 불가
배우자 근로자 ❌ 불가
근로자 & 배우자 근로자 ⭕ 가능
근로자 & 배우자 근로자 & 배우자 ⭕ 가능 (채무부담 비율에 따라)

3. 월세 세액공제

혼인 전부터 월세를 내고 있었더라도 결혼 후 배우자가 주택을 소유하면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4. 출산 관련 세액공제

출산을 계획 중이거나 이미 출산한 신혼부부라면 다음 공제 항목을 놓치지 마세요.

항목 내용
산후조리원비 총급여 제한 없이 200만원까지 의료비 세액공제 포함
출산세액공제 첫째 30만원, 둘째 50만원, 셋째 이상 70만원
출산지원금 비과세 출생 후 2년 내, 2회 한도로 전액 비과세

신혼부부 연말정산 사례 분석

✨ 사례 1: 신혼부부 A&B의 연말정산 절세 전략

🏠 부부 정보

  • A씨 (근로소득 6,500만원) : 결혼 전 오피스텔 거주, 월세 지출 500만원
  • B씨 (근로소득 7,500만원) : 2024년 3월 기준시가 5.5억원 주택 구입
  • 결혼 후 B씨의 집으로 주민등록 이전
  • B씨, 2024년 10월 라식 수술(250만원)

📝 절세 전략

결혼세액공제: 부부 각각 50만원씩 총 100만원 공제 가능
주택자금공제:

  • A씨: 혼인신고 후 1주택 보유 세대원이 되어 월세 세액공제 불가
  • B씨: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600만원) 소득공제 가능
    의료비 세액공제:
  • B씨의 라식 수술비 250만원은 총급여 3% 초과액만 공제 가능
  • 총급여가 낮은 A씨가 의료비 합산 공제 신청 시 최대 55만원 공제 가능
    신용카드 사용 전략:
  • B씨는 총급여 7천만원 초과로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 200만원
  • A씨는 300만원까지 가능하므로, 주요 지출은 A씨 명의 카드로 결제

신혼부부를 위한 연말정산 꿀팁 총정리

2024~2026년 혼인신고 완료 시 100만원 결혼세액공제 가능
신용카드 사용은 연봉이 낮은 배우자 명의로 집중
주택자금공제는 대출 명의자와 주택 소유자가 일치해야 가능
출산세액공제 및 출산지원금 비과세 항목 꼭 챙기기
월세 세액공제는 결혼 후 주택 소유 여부에 따라 적용 여부 달라짐

신혼부부라면 이번 연말정산을 통해 놓치지 않고 최대한의 혜택을 챙겨보세요! 보다 자세한 사항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확인하거나 국세 상담센터(126번)로 문의하면 더욱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출처: 국세청 보도자료 2025.01.19
250119 꿀 같은 신혼 최대 100만원의 결혼세액공제도 잊지 마세요.pdf
0.50MB

댓글